2018년 6월13일. 본격적인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신호탄이 울렸다.

박근혜 전 정부의 국정농단 사태에서 시작된 촛불집회, 또는 혁명의 마침표가 될 이전 6.13 지방선거는 많은 부분에서 시작을 의미하는 공약들이 집대성될 가능성이 높다.

우선적으로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친문 계열의 지방분권형 개혁을 이끌 신진 지도자 출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보수권의 10년 정권동안 민주주의를 지탱해온 다선 지자체장들의 물갈이에 나서야 함에 따라 이에 대한 반발을 얼마나 무마할 수 있을지도 관전포인트다.

또한, 사실상 자유한국당이 중심으로 한 보수권은 인물난의 극복을 위한 일명 '충성파' 중심으로 당을 재편하며 최소한의 포지션을 차지해야 하는 운명의 기로에 섰다.

여기에 중도보수권과 신좌파로 분류될 수 있는 야권의 정당들이 얼마나 득표를  해내야에 향후 중앙정국까지 영향력을 미칠지 주목해봐야 한다.

여권의 흐름은 당연히 세대교체다. 그 마지노선은 유력주자로 분리던 인사들의  3선 불출마 선언이 가이드라인에 됐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여기에 반기를 든 3선 주자들은 여전히 표몰이에 나서며 강한 단체장을 선언하고 있다.

서울권에서 지켜보는 앞으로의 지방분권형 민주주의와 토착세력으로 각인된 3선 주자들의 피말리는 공천전은 지방자치를 보는 시각이 얼마나 다른가를 명확하게 해줄 것이다.

여기에 전체적인 6.13 지방선거의 흐름은 문재인 대통령이 얼마나 잘하느냐, 지방분권형 개헌안이 동시에 투표가 이뤄질 것이냐 등 결과적으로는 바람의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이다.

여당은 물론 야당도 최대한 느리게 공천에 나서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점 때문이다. 어느쪽이든 자당의 유리한 인사를 공천해야 하고 이 흐름에 역행해서도 안된다.

한국당 입장에서는 분명하게 조직을 다져놓을 필요가 있다. 이번 지방선거는 앞으로 채 2년이 남지 않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필히 거쳐야할 고난이다.

이 고난 속에서 얼마나 유력주자들을 광역단체장 중심으로 포진시키느냐에 따라 홍준표 체제 속에서 보수재건의 명운이 달려있다.

한국당 입장에서는 대 북한 정책과 경제 적신호 등이 이미 호재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원인이 10년 동안의 집권기간 동안 쌓였던 것이 분출되는 만큼 화살의 방향이 안으로 올지 밖으로 향할지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여타의 정당들은 몇몇 스타성 인사들이 나서는 것에 비하면 결국 2년후를 위한 새인물 위주의 공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당의 명운을 위해서는 단체장이 아닌 국회의원이 배출해야 하는 만큼 이번 기간동안 2년 후의 인물들이 미리 포진될 가능성이 높다.

일련의 군들은 새인물 발탁에는 결국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미래를 위한 투자에 나서야 하지만 시대적 흐름은 양당 구도의 큰틀에서는 벗어날 가능성이 적다.

선전을 해야하지만 선전할 카드가 부족하다. 여당이 잘해도 문제이고, 야당이 못하면 더 문제인 이유다.

결국 카드는 문재인 정부의 선택에 달렸다고 봐야하는 것이 6.13 지방선거다.

중간평가든, 세대교체든 그것이 순풍이 될지 역풍이 될지 결국 바람에 따라 지방선거와 미래 지방자치의 다른 밑그림이 그려진다.

어째든, 총성은 울렸고 모두 달리기 시작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