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 0.2%p, GDP 0.1%p 올려…메르스 후 외래관광객 첫 증가
22개 참여업체 매출 전년보다 20.7% ↑…온라인매출도 28.9% ‘껑충’

지난 1~14일 펼쳐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의 경제 효과를 분석해보니 4분기 민간소비는 0.2%p, GDP는 0.1%p 올라간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주요 22개 참여업체의 경우 매출이 7194억원 증가,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 20.7% 상승했으며, 외국인입국자수도 8.5% 증가하고 숙박·음식점 등 관련업종 매출증가도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부는 내년 블랙프라이데이의 행사명과 시기 등 정해 올 연말까지 내년도 시행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백화점, 온라인쇼핑 등 92개 업체(약 3만 4000여개 점포), 200개 전통시장 등이 참여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가 지난 14일 2주간의 일정을 마쳤다고 밝혔다.


최초로 정부 주도로 기획해 진행된 이번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에서 22개 주요 참여업체의 1~14일간 매출 실적은 지난해와 비교해 7194억원(2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 매출변화의 특이점 및 업계 평가를 살펴보면 백화점은 최근 수년간 매출 증가가 정체된 상황에서 코리아블랙프라이데이를 통한 매출 두자리수(24%) 증가는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대형마트의 경우도 추석 직후가 전통적인 비수기인 점을 고려하면 3.6% 매출증가는 외형상 수치 이상의 효과가 있었다는 평가다.


대형마트 매출을 작년 추석 이후 2주간과 비교할 경우, 매출증가 효과는 15.8%에 달한다.


온라인쇼핑몰의 경우 28.9%의 매출 증가로 오프라인 업체보다 높아 향후 코리아블랙프라이데이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망라한 할인행사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에도 블랙프라이데이(금요일)보다 사이버먼데이(블랙프라이데이 직후 월요일)의 매출 신장세가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지난 9월 22일 코리아블랙프라이데이 발표 후 참여 의사를 밝힌 전자랜드, 하이마트 등 전자제품 유통전문업체의 경우 짧은 준비기간에도 불구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20.9%의 매출 증가를 달성함으로써 이번 할인행사의 대표적인 수혜업종으로 평가된다” 며 “내년부터 할인행사가 정례화되고 전자제품 업체들이 연초부터 행사제품 생산을 기획하는 등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준비할 경우,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마찬가지로 전자제품이 전국 규모 할인행사의 대표품목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편의점 매출도 36.3% 증가했는데 일부 담배값 인상 효과를 고려하더라도 실질 매출 증가 효과는 약 11.5%에 이르는 것(524억원 수준)으로 분석됐다.


한편, 중국 국경절 및 코리아그랜드세일과 연계해 시행된 결과, 1~14일간 외국인 관광객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5% 증가, 메르스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아울러 숙박업소·음식점 등 관련 업종의 매출 증가를 유발해 광복절 임시공휴일, 추경, 개별소비세 인하, 코리아그랜드세일 등 메르스 이후 일련의 정책에 의해 촉발된 내수회복 모멘텀 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홍콩 사스(2003), 일본 대지진(2011) 등 유사 사태 이후 해당국의 관광산업이 회복되는데 6개월~1년이 걸린 반면 우리나라는 3개월여만에 신속하게 메르스 이전 수준에 근접하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재부는 “이번 행사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국민 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4분기 민간소비를 0.2%p, 4분기 GDP를 0.1%p 수준 제고시킬 것으로 추정된다”며 “행사기간 중 백화점·대형마트 등 소매업종 매출액이 평소 대비 약 4300억원이 추가로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또한 “이에 따른 부가가치 유발액은 3500억원 수준으로 우리 경제 분기별 소비지출 규모의 약 0.2%에 해당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늘어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 외 음식·숙박업 등에 지출한 금액도 약 300억~400억원 수준으로 추산돼 +α 효과가 발생했다”며 “앞으로 이번 행사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쇼핑축제로 정착,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충분한 준비기간 제공, 제조업체 참여 확대, 전통시장·영세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강화 등 보완 필요 사항을 적극 검토하고, 유통업체·소비자·제조업체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연말까지 행사시기, 기간, 행사명 등 내년도 시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