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양수 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는 불가분의 관계다.

광역단체장인 만큼 굴직굴직한 도 정책 사업 추진의 핵심을 경기도시공사에 두는 것은 당연하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각에서 "경기도시공사는 상생협력과는 거리가 먼 기관"이라는 비판이 수원시, 화성시, 용인시 등에서 평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수원군공항과 관련돼 경기도시공사 홍보팀에게 문의한 적이 있다.

당시에 담당자는 "제가 그 업무를 담당했던 만큼 알고 있는 것은 다 알려드리겠다"면서 첫번째 건넨말은 "이 사업은 수원시 사업이다. 도시개발법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언질이었다.

기자는 최대한 공무원 등의 멘트를 존중하는 편이다. 그렇다고 믿는 것은 아니지만, 이 현상은 수원시 군공항협력국, 화성시 군공항이전대응담당관 등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언론에 대해서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려 한다. 기밀사항도 많은 편이고 또한 대응 수위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화성시민들과 수원시민들은 올바른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 기간동안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수행했던 수원군공항 이전사업, 따복하우스, 경기북부 대단위 건설 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차기 경기도지사는 매년 2조원대 규모의 사업을 진행하며 매년 천문학적인 숫자의 이자를 내면서도 흑자를 내는 경기도시공사에 대한 진단과 개혁방향을 먼저 밝혀야 한다.

공공기관은 투명해야 한다. 또한, 도민의 혈세로 조성됐던 20년차 경기도시공사의 어느 부분이 문제가 되고 있는지, 도지사 핵심사업을 위해 도민의 권리와 가치를 상실시키고 있는지 잘 살펴봐야 할 것이다.

기관 설립 이후 그정도의 해가 지나고 나면 구조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외부로 알려지지 않았던 군공항사업단이 명백히 존재했다. 비밀로 한 것이 아니더라도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먼저 공개했어야 한다.

경기도시공사 관계자에게 "1억6천만원의 군공항 관련, 긴급 용역비용이 어느 내역에서 지출됐냐?"고 질의했을 때 "그 정보가 왜 필요한 것이냐? 쓸 수 있는 돈이다"는 답변을 들었다.

첫날부터 깊게 물을 생각은 없지만, 쓸 수 있는 돈과 쓰면 안되는 돈이 명확해야 하는 것이 공사의 책임경영이다. 외부로 나타나지 않았던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수원군공항 이전 추진의 역할이 6.13 지방선거 동안 부각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