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 내 일본을 넘어 세계 2위 콘텐츠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 인터넷플랫폼 빅3 기업인 바이두(百度), 알리바바(阿里巴巴), 텅쉰(騰訊·텐센트)과 여타 인터넷플랫폼간의 경쟁 구조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강만석 소장은 23일 한국콘텐츠진흥원 2층 콘텐츠홀에서 열린 ‘한?중 문화산업 교류회’에서 “중국의 동영상사이트들이 TV화하면서 판권에 53억 위안(한화 약 1조 원)을 투자하고 있다”면서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이후 인터넷플랫폼 간에 불어 닥친 한국 드라마 확보 경쟁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소장은 이날 교류회에서 ‘중국 콘텐츠 규제정책과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발표하면서 “특히, BAT(바이두, 알리바바, 텅쉰)와 중소 유무선플랫폼간의 경쟁구조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소장은 이어 “중국은 공산당 창건 100주년인 2021년 직전인 2020년까지 세계 최대 문화산업 강국이 되는 정책 목표를 공표했다”면서 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중국 문화산업 1선 도시인 북경, 상해, 심천에 도시거점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현지의 멘토 클럽 활용 등의 전략도 제시했다.

이날 교류회에서는 CJ E&M 이성훈 차이나 공연부문 부장과 컴투스 의 콘텐츠산업 한?중 교류협력 방안에 대한 발표도 있었다. 이 부장은 중국과 CJ E&M이 공동 설립한 아주연창(상해)문화발전유한공사의 뮤지컬 ‘맘마미아’와 ‘캣츠’의 성공사례를 소개하며 “한·중·일이 협력하면 영·미의 뮤지컬 시장과 동등한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 상하이시 쉬린(Xu Lin, 徐麟) 상무위원 겸 선전부장, 런이비야오(任?彪·REN YI BIAO) 국가대외문화무역기지 총경리, 나우위에핑(??平·NIU WEI PING) 상해동방명주주식회사 대표, 왕리웨이(王力?·WANG LI WEI) 상해신화전매유한공사 총재 등 고위급 인사들이 상해 자유무역구의 정책 및 서비스, 한중문화 협력방안을 소개하고 국내 참가자들의 질문에 직접 답하기도 했다.

런이비야오 총경리는 중국의 펀드, 기금제도와 관련한 질문에 “중국의 펀드와 기금은 대외에서 인식하는 것보다 다양하고 개방돼 있다”면서 “향후 더 많은 펀드기금 제도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니우위에펑 대표는 중국 케이팝 팬들을 대상으로 한 사업의 현지 파트너를 소개해 달라는 한 참가자의 요청에 “회의가 끝나는대로 바로 연락할 수 있는 업체에 대한 정보를 드리겠다”고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홍상표 원장은 “창조경제의 구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동반자 관계인 중국과 한국이 전략적으로 상호협력 범위를 더욱 넓혀갈 시기”라면서 “이번 교류회는 아시아 콘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양국의 힘과 지혜를 모으기 위한 첫 걸음”이라고 행사의 의미를 설명했다.

‘한·중 문화산업 교류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운영 중인 ‘콘텐츠 창의 생태계 협의회’의 실행 조직인 ‘콘텐츠 해외진출협의회’의 일환으로 중국시장 진출 및 교류활성화를 위해 운영되고 있다. 이번 교류회를 위해 중국 측에서는 상하이 ‘푸동’ 지구에 해외기업 및 자본유치를 주도해 온 상하이시 쉬린(Xu Lin, 徐麟) 상무위원 겸 선전부장을 비롯한 고위 정부인사와 콘텐츠기업들, 한국 측에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홍상표 원장을 비롯해 CJ E&M, 컴투스, 아이코닉스 등 국내 대표 콘텐츠기업 관계자 230여명이 참가했다.

한편, 상하이는 문화산업 분야의 외국계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2011년 10월 ‘상하이자유무역구 국가대외문화무역기지’를 설립했다. ‘국가대외문화무역기지’는 상하이자유무역구 내, 상하이 정부가 운영하는 유일한 문화 무역 서비스 공공 플랫폼으로, 장르 및 분야를 막론하고 기지에 입주한 기업에게 △중국 내 문화상품 유통 △문화기업 경영자문 △전문인력 육성 △전시 및 이벤트 개최 등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