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당, 김종인 체제로의 원만한 지도부 교체, 김홍걸 입당과 호남의원 잔류, ‘더불어 콘서트’의 흥행으로 수도권·호남·충청, 20·30·50대, 진보·중도보수층에서 결집하며 3주 연속 상승, 安탈당 이전으로

20대 총선을 70여일 앞두고 교섭단체 구성을 두고 난항을 겪고 있는 국민의당 지지율이 10%대 초중반(13.1%)으로 하락한 반면,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은 동반 상승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안철수 의원이 탈당하기 이전의 지지율(26.9%)을 다시 복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의 2016년 1월 4주차(25~29일) 정당지지도 주간집계에서, 새누리당이 당내 계파 갈등의 증폭에도 불구하고 쟁점입법 서명운동 확산, 정부의 누리과정 예비비 투입과 관련한 긍정적 보도가 이어지며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1.4%p 오른 40.6%로, 2주 연속 상승, 안철수 의원이 탈당하기 직전인 12월 2주차(42.3%) 이후 6주 만에 처음으로 40%대를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새누리당의 일간 지지율은 박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 개혁추진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던 25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2.0%p 오른 41.2%로 시작해, 국회선진화법과 관련한 김무성 대표의 ‘권력자’ 발언이 논란이 된 26일(화)에는 40.5%로 내렸고, 쟁점입법 서명운동 확산과 정부의 누리과정 예비비 배정 관련 긍정적 보도가 이어졌던 27일(수)에는 43.9%로 상승했다가, 김무성 대표의 ‘권력자,’ ‘완장’ 발언이 당내 계파 갈등으로 확산되었던 28일(목)과 29일(금)에는 각각 40.5%, 37.8%로 급락했으나, 최종 주간집계는 1.4%p 상승한 40.6%로 마감됐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문재인 대표가 사퇴하고 김종인 위원장을 중심으로 대여협상 및 총선준비 체제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1.9%p 오른 26.9%로 3주 연속 상승, 안철수 의원의 탈당 이전(12월 1주차 26.9%)으로 복원된 것으로 조사됐다.

더민주의 일간 지지율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교수의 입당 관련 보도가 집중됐던 25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2.0%p 오른 27.0%로 출발했으나, 천정배 의원의 국민회의가 국민의당과 통합하기로 한 보도가 나간 다음날인 26일(화)에는 25.2%로 소폭 하락했고, 박주선 의원이 국민의당에 합류한 27일(수)에도 22.8%로 추가 하락했다가, 김종인 비대위 체제가 본격 출범한 28일(목)에는 28.3%로 5.5%p 급등한 데 이어, 박혜자 의원(광주 서구갑)이 당 잔류를 선언하고 김무성 대표의 ‘저출산 대책, 조선족 이민 확대’ 발언에 공세를 폈던 29일(금)에도 30.4%로 상승해, 안철수 의원이 탈당한 직후인 작년 12월 16일(30.7%) 이후 44일 만에 처음으로 일간집계 30%대로 올라섰는데, 최종 주간집계는 1.9%p 상승한 26.9%로 마감됐다.

더민주의 상승은 김종인 체제로의 원만한 권한 이양, 김홍걸 교수의 입당과 호남 의원들의 잔류, ‘더불어 콘서트’의 흥행 등으로 국민의당 지지층과 무당층 일부가 재결집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의당(가칭)은 천정배·박주선 의원과의 통합,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의석 확보 노력, 지역 창당대회 등 각종 창당 행보를 이어갔음에도 불구하고 4.0%p 하락한 13.1%로 2주 연속 하락하며 10%대 초중반으로 내려앉았다. 국민의당은 최고 지지율을 기록했던 지난 1월 2주차(20.7%) 이후 2주 만에 7.6%p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당의 일간 지지율은 김홍걸 교수가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다음날인 25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4.1%p 하락한 13.0%로 시작했으나, 천정배 의원의 국민회의와 합당을 선언한 다음날인 26일(화)에는 14.9%로 상승했는데, 27일(수)에는 전날 있었던 ‘부산시당 위원장 선출 몸싸움’ 관련 보도와 ‘이희호 여사 녹취록’ 관련 논란이 확산되면서 13.3%로 내린 데 이어, ‘교섭단체 구성 의석 불리기’ 논란과 연일 이어진 더민주·김종인 위원장에 대한 공세가 ‘네거티브 구태정치’ 논란을 불러일으킨 28일(목)에도 11.2%로 하락하며 조사에 포함된 이래 최저치로 하락했다가, 원샷법(기업활력제고특별볍)·북한인권법·공직선거법 처리 난항을 새누리당과 더민주의 “국민에 대한 갑질” 양비론으로 함께 비난했던 29일(금)에는 13.7%로 반등했으나, 최종 주간집계는 4.0%p 하락한 13.1%로 마감됐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더민주가 3.7%p 상승(23.7%→27.4%)한 반면, 국민의당은 2.3%p 하락(33.4%→31.1%)했고, 수도권에서 역시 더민주가 3.0%p 상승(27.4%→30.4%)한 반면, 국민의당은 5.8%p 하락(17.7%→11.9%)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의당은 1주일 전 대비 1.2%p 하락한 3.4%, 기타 정당은 1.4%p 상승한 3.8%를 기록했다.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은 2.0%p 증가한 12.2%로 집계됐다.

야권 전체(더민주, 국민의당, 정의당)의 지지율은 43.4%로 새누리당(40.6%)과의 격차는 지난주 7.5%p에서 이번 주 2.8%p로 좁혀졌고,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1월 2주차에 각각 22.5%, 20.7%를 기록하며 오차범위 내의 접전을 벌였으나, 2주가 지난 이번 주에는 격차가 13.8%p까지 벌어져, 더민주의 지지율이 국민의당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민주와 정의당이 총선연대를 위한 ‘범야권 전략협의체’ 구성에 합의한 가운데, 서울과 경기·인천의 수도권에서는 새누리당이 38.0%, 더민주와 정의당이 35.4%(더민주 30.4%+정의당 5.0%)로 새누리당과 민·정연대가 오차범위(±3.0%p) 내의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 수도권 지지율은 지난주 17.7%에서 이번 주 11.9%로 5.8%p 급락했다.

충청권에서도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각각 37.3%, 32.0%로 오차범위(±6.2%p) 내의 접전을 벌이면서 두 당의 양강구도가 형성되고 있는 반면, 국민의당의 충청권 지지율은 수도권과 비슷하게 지난주 18.2%에서 이번 주 12.8%로 5.4%p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와 전남·북의 호남권에서는 국민의당이 31.1%로 더민주(27.4%)를 오차범위(±5.6%p) 내에서 앞섰다. 하지만 일간으로는 주 후반부터 더민주(28일 35.8%, 29일 36.0%)가 국민의당(28일 29.7%, 29일 28.7%)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권에서는 새누리당의 1강구도가 지속되고 있는데, 부산·경남·울산에서는 새누리당이 52.2%, 더민주가 23.5%, 국민의당이 7.7%, 대구·경북에서는 새누리당이 62.6%, 더민주가 12.7%, 국민의당이 10.6%를 기록했다.

이번 주간집계는 2016년 1월 25일부터 29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32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임의걸기(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5.8%이다. 통계보정은 2015년 12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9%p이다. 일간집계는 ‘2일 이동 시계열(two-day rolling time-series)’ 방식으로 25일 1,010명, 26일 1,017명, 27일 1,017명, 28일 1,007명, 29일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응답률은 25일 6.4%, 26일 5.6%, 27일 5.5%, 28일 6.1%, 29일 5.9%, 표집오차는 5일간 모두 95% 신뢰수준에서 각각 ±3.1%p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